엔진플러싱은 필요한 것인가?
우선 엔진플러싱이 뭐지? 하는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자동차엔진에 오일만 정기적으로 교환을 했음에도 왜? 플러싱이 필요할까?
자동차에서 새차를 구입하게 되면 차량관리메뉴얼책자가 동봉되어 있습니다.
엔진오일을 교환하는 시기는 1년이내 10,000km 후에 바꾸도록 안내되어 있습니다.
물론 단서조항으로 몇가지 내용에 해당하면 주기를 앞당길수 있다는 모호한 안내를 하지요.
차량메뉴얼상 1만키로를 타고 바꾸라는 말을 믿게 됩니다.
더군다나, 고급차의 경우는 무료오일교환권도 줍니다.
1만키로 마다 바꾸면 되는 것으로 알고, 꾸준히 10,000km 마다 지정 정비업소에서
교환을 받습니다.
여기서 바꿔주는 오일은?
절대 좋은 오일은 아닙니다.
경험상 순정오일이라는 것은 오일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3,000키로면 수명이 다해 갑니다.
순정오일은 고속주행시 열이 발생하면서 오일점도가 파괴되면서 슬러지라는 찌꺼기가 생기며
왁스성분에 의해 엔진내부에 고착이 됩니다.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오일캡을 열어 보시거나 오일량을 체크하는 게이지를 뽑아보면
오일이 닿는 부분이 노랗거나 진한갈색등으로 변색이 된 것이 확인이 됩니다.
만약 이런 상태라면 엔진내부는 심하게 오염된 것으로 보시면 틀림 없습니다.
무료쿠폰을 많이 주는 고급차량의 경우는, 대략 4~5만키로에 비용을 내시고 교환을 합니다.
대부분 슬러지가 장난 아니게 심하고 오일캡을 열어보면 안쪽부분이 누렇게 오염된 것이 확인 됩니다.
여기서 플러싱을 권하게 되는데
플러싱을 하고나면 플러싱액이 엔진내부에 남아있지 않도록 잔유폐오일을 확실히 제거해 주어야
하는데, 오일교환전문점을 제외 하고는 그 작업이 눈가리고 아웅하는 수준 입니다.
오일을 교환시 하단에 있는 오일볼트를 풀어보면
오일배출시 심한 솔벤냄새가 나는 차량이 많습니다.
차주분과 확인해 보면 영락없이 플러싱을 했었다는 답변을 듣습니다.
플러싱오일이 남아 있으면 오일점도가 깨지게 되어 차량에 나쁜영향을 끼치게 되는데
무척 안타깝더군요.
엔진오일 교환은 합성오일교환전문점에 의뢰 하시는 것을 권해 드립니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진오일 교환 주기! (2) | 2010.08.16 |
---|---|
경보기 배선 찾는법 (2) | 2010.06.06 |
ECU 초기화 방법 (0) | 2009.07.08 |
엔진오일, 능동적으로 교환하자. (2) | 2009.07.08 |
교통사고 처리 (0) | 2009.07.08 |